석재가공업자에서 발생한 감각신경성 난청
출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근로자 인적사항
성별 : 남
나이 : 59세
직종 : 석재가공직
직업관련성 : 높음
근로자 ○○○은 1967년부터 2010년까지 □사업장에서 석재가공업무를 수행하였다.
2004년경 난청으로 이비인후과의원에서 보청기 착용을 권유받았으며,
2012년초부터 전화를 받을 때 소리가 잘 안 들리고,
TV 시청 시 음량을 크게 틀어야 잘 들리는 것 같아 이비인후과 의원에서 검사상
감각신경성 난청을 진단받았다.
□사업장내 석재 절단작업 시 1m 이내의 지점에서 95dB, 3m 지점에서는 93dB의
소음이 측정되었다.
○○○은 2004년경 난청으로 이비인후과의원에서 보청기 착용을 권유받았으며,
2012년 초부터 전화를 받을 때 소리가 잘 안 들리고,
TV 시청 시 음량을 크게 틀어야 잘 들리는 것 같아 이비인후과 의원에서
순음청력검사상 평균 청력역치(6분법)우측 48dB, 좌측 39dB로서,
감각신경성 난청을 진단받았다.
근로자 ○○○는 30여 년간 석재절단 및 가공작업에 종사하면서 평균 85dBA 이
상의 소음에 노출되어 업무관련성이 높다고 판단되었다.
[산재보상센터] 석공 소음성 난청 산재승인사례 (석재가공, 석재절단 감각신경성 난청 )
'산재보상센터 > 소음성 난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공군 소방대 근로자 감각신경성 난청 산재승인사례(소방대원, 소방관 소음성 난청) (0) | 2021.04.30 |
---|---|
섬유제조업자 감각신경성 난청 산재승인사례 (기계수리공 소음성 난청 ) (0) | 2021.04.30 |
소음성 난청 산재 신청 방법 및 절차 (소음성 난청 인정 기준 완화) (0) | 2021.02.02 |
소음성 난청이 아닌 노인성 난청으로 보인다는 이유로 장해급여 부지급 결정을 한 사안사안에 대한 장해급여부지급처분취소 판결 (0) | 2021.01.29 |
소음성 난청 산재 인정기준 (작업장의 소음이 85 데시벨(DB) 이상, 소음에 3년 이상 노출, 내이 병변에 의한 감각신경성 난청, 한 귀의 청력 손실이 40 데시벨 이상 ) (0) | 2021.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