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림노동법률사무소14 악기 제조공 특발성폐섬유화증(IPF) 및 폐암 산재승인사례 악기 제조공의 특발성폐섬유화증 및 폐암 출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재해근로자 인적사항 성별 : 남 나이 : 59세 직종 : 악기제조공 직업관련성 : 있음 ○○○(망, 59세)은 악기제조업체등에서 금속가공 및 목재 가공 작업을 하던 중 2009년 8월 폐암과 특발성폐섬유화증 진단을 받았고 항암 치료 중 호흡곤란으로 2010년 3월 사망하였다. ○○○은 약 8년간 금속가공업무를 하였고, 이 기간 중 악기제조업체에서는 3년간 그라인더 작업을 하여 금속 분진에 노출되었다. 악기제조업체에서는 틀을 생산하는 주물공장이 있었고, 근로자는 여기서 생산한 주물(틀)을 가지고 그라인더를 이용해 표면을 가공하는 업무를 하였고 작업공간은 용접공들과 함께 사용했다. 그 후 부서를 이동하여 약 18년간 작업 중 목분진.. 2021. 4. 26. 조선소 용접공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산재승인 조선소 용접작업자에서 발생한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출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성별 : 남성 나이 : 61세 직종 : 용접/크레인직 직업 관련성 : 높음 근로자 ○○○는 1981년 □사업장에 입사하여 33년 동안 용접과 크레인운전 등을 수행하다가 2014년 □병원에서 상세불명의 철 결핍성 빈혈로 진단받았고 그 후 대학병원에서 골수 조직검사 결과 B-세포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으로 진단받았다. 근로자는 과거에 수행하였던 용접과 프라이머 도장 등의작업으로 인해 백혈병이 발생했다고 생각하여 2015년 2월 근로복지공단에 업무상질병을 인정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근로자 ○○○는 1981년 □사업장에 입사하여 약 9년 5개월간 선실 내 가구제작, 약 13년 11개월간 용접공정에서 도장작업, 약 10년 8개.. 2020. 10. 20. 용접공 양안 망막장애 산재승인 용접 종사자에서 발생한 양안 망막장애 출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성별 : 남성 나이 : 47세 직종 : 용접근로자 직업 관련성 : 높음 근로자 ○○○은 2011년 9월 □회사 공무담당으로 근무를 시작하였다. 2015년 1월 협소한 공간에서 보안경을 미착용하고 용접을 한 후 양안의 시력이 저하된 것을 느끼고, 안경점에서 안경도수를 맞추기 위해 방문하였으나 그곳에서 안과 정밀검진을 권유받고, 2015년 □안과병원에 내원하였고, 정밀 검사 결과 ‘양안 빛에 의한 망막장애(황반부 변성)’소견을 보였다. ○○○은 □회사 공무담당으로 근무 시간은 오전 8시 30분부터 오후 5시30분까지이고, 주 5일 근무를 하였다. 현장에서 직접 근무하지는 않았으며, 생산라인과는 다른 층인 4층 공무실에서 주로 근무하였.. 2020. 10. 20. 건설현장 착암공 소음성 난청 산재승인 사례 (양측감각신경성 난청) 건설 착암공 양측감각신경성 난청 출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성별 남성 나이 66세 직종 건설업 직업관련성 높음 △△△은 1967년부터 2009년까지 약 40년간 여러 건설현장에서 착암작업을 하였다. 2011년 1월 ◯◯◯이비인후과에서 양측의 감각신경성 난청 진단을 받았다. △△△은 건설업에서 착암공으로 근무하였다. 착암작업은 암석을 착암기를 이용하여 구멍을 뚫고 그 구멍에 폭약을 충전하여 암석을 폭파하는 작업이다. 주로 재개발 현장, 지하철 공사장에서 근무하였고 재개발 현장에서는 기계로 건물을 다 부수고 나면 남아 있는 지반의 암석에 착암기를 사용하여 구멍을 내고 그 구멍에 폭약 혹은 유압잭을 넣어 암석을 파쇄 하는 작업을 하였다. 보통 하나의 컴프레셔에 3개의 착암기를 설치해 한 컴프레셔 당.. 2020. 10. 19. 석공 소음성 난청 산재승인 사례 (석재가공업자) 석재가공업자 감각신경성 난청 출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성별 남 나이 59 직종 석공(석재가공업자) 직업관련성 높음 근로자 △△△은 1967년부터 2010년까지 □사업장에서 석재가공업무를 수행하였다. 2004년경 난청으로 이비인후과의원에서 보청기 착용을 권유받았으며, 2012년 초부터 전화를 받을 때 소리가 잘 안 들리고, TV 시청 시 음량을 크게 틀어야 잘 들리는 것 같아 이비인후과 의원에서 검사상 감각신경성 난청을 진단받았다. □사업장내 석재 절단작업 시 1m 이내의 지점에서 95dB, 3m 지점에서는 93dB의 소음이 측정되었다. △△△은 2004년경 난청으로 ◯◯이비인후과의원에서 보청기 착용을 권유받았으며, 2012년 초부터 전화를 받을 때 소리가 잘 안 들리고, TV 시청 시 음량을.. 2020. 10. 19. 터널공 소음성 난청 산재승인 (터널 근로자, 터널 건설공, 착암공, 전기공, 터널 굴진공, 터널공사 작업자) 사례 터널공사 근로자에서 발생한 소음성 난청 출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근로자 ○○○은 2013년 11월부터 2014년 9월 까지 □건설에서 시공하는 철도건설 현장에서 전기공으로 근무하였다. 본 근무력 이전에도 약 30여 년간 터널공사의 착암공, 전기공으로 종사한 경력이 있었다. 2014년 터널 전기공으로 근무 후 퇴사한 후 2015년 3월 양측 감각신경성 난청을 진단받아 장해급여신청서를 제출하였다. 근로복지공단은 소음 특수건강진단 결과와 비교하여 청력역치에서 현저하게 차이가 나고, 일반적인 소음 노출에 의한 변화와는 일치하지 않아 터널전기공의 소음 노출수준에 대한 평가와 의무기록 검토및 전문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는 자문을 받아서, 본 사례에 대한 조사를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 요청하였다. 근로자 .. 2020. 10. 16.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