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보상센터86 소음성 난청 산재 인정기준 (작업장의 소음이 85 데시벨(DB) 이상, 소음에 3년 이상 노출, 내이 병변에 의한 감각신경성 난청, 한 귀의 청력 손실이 40 데시벨 이상 ) 위 이미지 클릭시 바로 통화 연결됩니다. 소음성 난청이란? 작업 시에 지속적·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소음에 의하여 근로자 분의 청력에 영구적인 손상이 오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소음성 난청으로 산재보상을 받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건들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1) 작업장의 소음이 85 데시벨(DB) 이상일 것 종사하신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85 데시벨(DB)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러한 소음 정도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에는 인정이 어렵습니다. (2) 소음에 3년 이상 노출되어 왔을 것 85 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작업장에서 3년 이상 근무하신 경력이 있으셔야 합니다. 일용직 분들의 경우에는 여러 현장을 옮겨다니시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라도 수행한 작업들에서 상기 소음발생이 인정된다면 소음.. 2021. 1. 29.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으로 인한 산재 보상 (광산 근로자, 석공, 해체업 종사자, 건설업 ) 위 이미지 클릭시 바로 통화 연결됩니다.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유해한 입자나 가스의 흡입에 의해 발생하는 폐의 비정상적인염증반응과 이와 동반되어 비가역적이며 점차 진행하는 기류제한을 보이는 호흡기 질환입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증상은 기침, 가래, 운동시 호흡곤란을 포함하며 증상의 급성악화를 자주 동반하며, 흡연이 대표적인 원인입니다. 보통 만성폐쇄성폐질환 발생 첫 번째 증상인 만성 기침은 처음에는 간헐적이지만, 나중에는 매일 나타나며 때로는 온종일 지속되기도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현저한 기류 제한이 기침 없이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둘째,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들에서는 흔히 기침 발작 후에소량의 끈끈한 객담이 나옵니다. 마지막으로, 호흡곤란은 대부분의 환자들이 의사를 찾는 이유이며 이 질환과 관련된.. 2021. 1. 29. 광산근로자 소음성 난청 산재승인 (탄광근로자, 감각신경성 난청, 혼합성 난청) 광업소 광부근로자 소음성 난청 출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성별 남 나이 59세 직종 광부 직업관련성 높음 근로자 △△△은 1979년 9월부터 1994년 1월까지 약 15년간 석탄 광산인 ○○사업장에서 굴진선산부로 근무하였다. 그 후 1994년 5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사업장 쓰레기 적환장에서 11톤 컨테이너박스 뚜껑 개폐작업과 주변 청소 및 타이어 펑크 교환 작업을 하였다. 2003년경부터 통화 등을 할 때 좌측귀가 잘 들리지 않는 증상이 있었고, 2009년 10월부터는 우측귀가 잘 들리지 않는 증상 발생과 함께 불편이 심해져 병원 방문 후 같은 해 11월 좌측 감각신경성 난청, 우측 혼합성 난청을 진단 받았다. 굴진막장의 소음발생원은 천공작업 시에 사용되는 Drill Machine과.. 2021. 1. 14. 하스리 작업자 소음성 난청 산재 승인(견출 작업, 할석 작업, 할석공) 건설 할석공 소음성 난청 출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성별 : 남 나이 : 67세 직종 : 할석공(하스리작업) 직업관련성 : 높음 ○○○은 1996년부터 2009년 9월까지 약 15년간 공사현장에서 소음이 심한 할석(벽체, 바닥, 천정, 내장재 등 시멘트 콘크리트를 깨고 갈아내는 작업)작업을 하였다. 근로자는 2010년 양측 감각신경성 난청으로 진단받았다. ○○○은 초등학교 졸업 후 1990년까지 농사, 구멍가게 이삿짐 센터를 운영하였고 그 후 목수로서 거푸집 작업을 4년간 하였다. 이 후 1996년부터 2009년까지 할석공으로 근무하였다. 할석 작업은 공사 현장에서 콘크리트 작업 후 벽체, 바닥, 천정, 내장재 등 변형된 곳을 핸드 브레이크나 그라인드로 깨고 갈아내는 작업이다. 과거 역학조사와.. 2020. 12. 23. 건설 할석공 소음성 난청 산재 승인 (감각 신경성 난청) 건설 할석공에서 발생한 소음성 난청 출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성별 : 남 나이 : 67세 직종 : 할석공 직업관련성 : 높음 ○○○은 1996년부터 2009년 9월까지 약 15년간 공사현장에서 소음이 심한 할석(벽체, 바닥, 천정, 내장재 등 시멘트 콘크리트를 깨고 갈아내는 작업)작업을 하였다. 근로자는 2010년 양측 감각신경성 난청으로 진단받았다. ○○○은 초등학교 졸업 후 1990년까지 농사, 구멍가게 이삿짐 센터를 운영하였고 그 후 목수로서 거푸집 작업을 4년간 하였다. 이 후 1996년부터 2009년까지 할석공으로 근무하였다. 할석 작업은 공사 현장에서 콘크리트 작업 후 벽체, 바닥, 천정, 내장재 등 변형된 곳을 핸드 브레이크나 그라인드로 깨고 갈아내는 작업이다. 과거 역학조사와 .. 2020. 12. 23. 조선소 용접공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산재승인 조선소 용접작업자에서 발생한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출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성별 : 남성 나이 : 61세 직종 : 용접/크레인직 직업 관련성 : 높음 근로자 ○○○는 1981년 □사업장에 입사하여 33년 동안 용접과 크레인운전 등을 수행하다가 2014년 □병원에서 상세불명의 철 결핍성 빈혈로 진단받았고 그 후 대학병원에서 골수 조직검사 결과 B-세포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으로 진단받았다. 근로자는 과거에 수행하였던 용접과 프라이머 도장 등의작업으로 인해 백혈병이 발생했다고 생각하여 2015년 2월 근로복지공단에 업무상질병을 인정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근로자 ○○○는 1981년 □사업장에 입사하여 약 9년 5개월간 선실 내 가구제작, 약 13년 11개월간 용접공정에서 도장작업, 약 10년 8개.. 2020. 10. 20. 이전 1 2 3 4 5 6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