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형사소송변호사35

자동차 보복운전 법률상담센터 (보복운전 유형,보복운전 관련법규 ,운전면허 행정처분 ) 위 이미지 클릭시 바로 통화 연결됩니다. 자동차 보복운전 위험한 물건인 자동차를 이용하여 특정인에게 위협을 가하거나 공포심을 느끼게 하는 행위로 폭행, 협박, 상해, 손괴하는 행위입니다. 보복운전의 유형 *앞서가다가 고의로 급정지하여 위협 *뒤따라오고 추월하여 앞으로와 급감속, 급제동하여 위협 *차선을 물고 지그재그로 가다 서다를 반복하여 진로 위협 *급하게 진로를 변경하며서 밀어붙이기 *앞서가다 급정지 후 하차, 욕설과 함께 손, 발짓으로 위협 *차량 뒤에 바짝 붙어 경음기를 누르고, 라이트를 깜빡거리거나 옆에서 창문을 내리고 손, 입 등으로 욕설하는 행위 *다른 차량들이 앞, 뒤, 좌, 우로 줄줄이 진행하여 사고의 위험이 높은 상황에서 공포심을 일으키게 하는 운전행위 등 보복운전 관련법규 -형법 제2.. 2020. 5. 7.
[서초동 변호사] 보복운전, 난폭운전 법률상담센터 [특수폭행, 특수상해, 특수협박, 특수손괴] 위 이미지 클릭시 바로 통화 연결됩니다. 보복운전, 난폭운전 (특수 폭행, 특수 상해, 특수 협박, 특수 손괴) 보복운전 또는 난폭운전범죄는 차량을 이용하여 폭행, 협박, 상해, 손괴를 하는 사안으로 통상 위험한 물건이라고 평가되는 차량을 운전하여 폭력범죄를 범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보복운전 또는 난폭운전에 대해서 사법기관의 그 처벌의 수위를 강화하여 가고 있는 추세인 반면 실제 그 운전자는 자신의 행위를 위험성 있는 행위로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의 관점과 외부에서 촬영되는 블랙박스의 관점은 전혀 다를 수 있으므로 보복운전, 난폭운전으로 조사를 받게 되는 경우에는 변호사와 함께 조사에 임하여 블랙박스를 함께 확인하고, 법리적으로 다툴 부분이 있는지 확인하여야 합니다.. 2020. 5. 7.
성추행 법률상담센터 (공중밀집장소에서의 추행,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추행) [교대역 변호사] 위 이미지 클릭시 바로 통화 연결됩니다. 성추행 상대방으로 하여금 성적수치심을 느끼게 할 만한 유형력의 행사이면 성추행행위로 볼수 있습니다.(강제적인 성행위 까지 동반한다면 ,강간죄의 영역으로 넘어갑니다) 다만 구체적인 사례의 경우 그것이 성추행이 되는냐 아니냐의 문제는 그 행위의 일시,장소,상대방과의 관계,행위내용등을 종합하여 판단하게 됩니다. 성추행 등과 같은 성범죄는 가해자와 피해자만 있는 장소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범죄로서 증인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피해자의 경우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서라도 수사기관이나 변호사 등 전문가에게 적극적으로 도움을 요청해야 합니다. 그리고 가해자로서 고소를 당하신 경우, 경찰수사단계에서부터 변호사 등과 같은 법률전문가의 조력을 받아 대처해야만 검찰이나 법원으로.. 2020. 5. 6.
직장 내 성추행 법률상담센터 (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추행) [서초동 변호사] 위 이미지 클릭시 바로 통화 연결됩니다. 직장 내 성추행 (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추행) 1) 업무, 고용이나 그 밖의 관계로 인하여 자기의 보호, 감독을 받는 사람에 대하여 위계 또는 위력으로 추행한 경우 성립합니다. 2) 벌칙 :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 [Law Firm] 직장 내 성추행 법률상담센터 2020. 5. 6.
협박죄 법률상담센터 (특수협박죄,존속협박죄,상습협박죄 위 이미지 클릭시 바로 통화 연결됩니다. 협박죄(일반) 사람으로 하여금 공포심을 일으키게 하기에 충분한 해악을 고지한 사람은 “3년 이하의 징역, 5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처벌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협박의 정도는 공포심을 일으키기에 충분할 뿐 현실적으로 공포심을 일으킬 것까지 요구하지는 않고 있으며, 협박죄는 피해자의 명확한 의사에 반하여 처벌을 할 수 없는 “반의사불벌죄”이기 때문에 피해자와 가해자 사이에 합의가 되고 처벌을 원치 않으면 처벌할 수 없는 특수성이 있습니다. 존속협박죄 자기 또는 배우자의 직계존속에 대하여 협박죄의 행위를 가한 사람은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7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게 되는데, 이 경우는 인척관계로 인해 가중처벌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협박죄와 같이 피해자가 .. 2020.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