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재보상센터/진폐증, 만성폐쇄성폐질환, 기타 폐질환29

[법원판례] 진폐 미지급 장해급여 청구 승인 사례 (진폐 장해보상일시금, 진폐 장해위로금) 위 이미지 클릭시 바로 통화 연결됩니다. 진폐 미지급 장해급여 청구 소송 판례 사 건 : 서울행정법원 2016구단64855 장해급여부지급처분취소 원 고 : 박○○ 외4 피 고 : 근로복지공단 처분의 경위 원고 박○○, 우○○, 차○○, 윤○○는 분진작업에 근무한 이력이 있는 사람들로서 아래 표 기재와 같이 진폐증으로 진단받고 합병증으로 요양 중에 있고, 망 최○○(원고 김○○의 남편이다. 이하 ‘망인’이라 한다)은 ○○광업소에서 근무하면서 분진작업에 종사하였는데, 아래 표 기재와 같이 진폐증으로 진단받고 합병증으로 요양하던 중 2014. 5. 8. 사망하였다. 원고 박○○, 우○○, 차○○, 윤○○는 각 장해급여를 청구하고, 원고 김○○는 망인에 대한 미지급 보험급여(장해급여)를 청구하였으나, 피고는 ‘.. 2020. 10. 14.
철근 가공업체 용접작업자 폐기종 산재 인정사례(만성폐쇄성폐질환 (COPD)) 위 이미지 클릭시 바로 통화 연결됩니다. 용접작업 근로자에게서 발생한 폐기종 출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성별 : 남성나이 : 40세직종 : 용접작업직업 관련성 : 높음 사건개요 박○○(남, 40)은 6년 10개월간 철구조물 및 강교제작을 하는 철근가공업체에서 용접작업을 수행하였고, 2002년 5월경에 기침 및 호홉곤란 증상이 발생하였다. 2002년 9월에 K대학병원에서 폐기종으로 진단받았습니다. 작업환경 박○○은 약 7년 동안 교량, 터널 등 토목공사에 사용되는 강교, 철골을 용접 및 절단 가공하는 작업에서 CO2 용접작업과 용접불량부위를 수정하는 가우징 용접을 하였으며, 주로 CO2 용접작업을 많이 하였다. 작업환경측정자료에 의하면 용접흄은 0.913 - 4.861㎎/㎥, 크롬 0.0001 .. 2020. 9. 8.
주물공장 사상작업자 간질성 폐질환 산재 승인사례 위 이미지 클릭시 바로 통화 연결됩니다. 주물공장 사상작업자 간질성 폐질환 산재 인정사례 출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성별 : 남성 나이 : 64세 직종 : 사상작업 직업 관련성 : 높음 사건개요 근로자 ○○○은 사상공으로 28년간 근무한 자로 주물 후처리로써의 사상작업을 수행하였다. 2009년 말부터 기침, 가래 운동시 호흡곤란이 심해졌고 2010년 초 ‘비특이성 간질성 폐렴’으로 진단을 받았다. 근로자는 상기 질환이 작업 중에 노출된 분진으로 인하여 발생했다고 생각하여 근로복지공단에 산재요양신청서를 제출하였다. 작업환경 근로자는 사상공으로서 사상작업 외에 다른 작업을 하지 않았고 하루 11~12시간을 2008년까지는 주 6일, 2009년까지는 주 5일을 근무하였다. 약 4년 전까지는 보호구가 따로 지.. 2020. 9. 4.
조선소 도장 사상공 근로자 폐질환 산재 인정사례 위 이미지 클릭시 바로 통화 연결됩니다. 조선소 도장 사상공 근로자 폐질환 산재 인정사례출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성별 : 남성나이 : 41세직종 : 조선소 도장 사상공직업 관련성 : 높음 사건개요 이○○은 D사에 1987.4. 입사하여 사상작업에 근무하였는데, 2000.6.경부터 계속적 잔기침, 전신 쇠약, 체중감소가 있어 9월 말경 CT 촬영을 한 후 조직검사를 위해 전원을 기다리던 중 2000. 9. 23. 사망하였다. 작업환경 1985년부터 D사 외주업체 사상공으로 근무했으며, 1987.4.부터 수행한 파워브러싱은 도장이 실시되기 전 선체에 파워 블러쉬로 녹, 페인트 등을 벗겨내는 작업이었다. 그외 도장보조작업이 많았다고 하였다. 1995년부터 근무한 사상작업은 컵브러쉬, 샌드페이퍼를 회전시켜 .. 2020. 9. 4.
제철소 제선 작업자 전신경화증, 간질성폐질환 산재 인정사례 위 이미지 클릭시 바로 통화 연결됩니다. 제철소 제선 작업자 전신성경화증 관련 간질성 폐질환 및 폐이식 산재승인 출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조사사례 성별 : 남성 나이 : 32세 직종 : 제철소 제선 작업자 직업관련성 : 높음 사건개요 근로자 ○○○은 1990년 5월 7일 □사업장에 입사하여 약 20년간 원료(미분탄, 무연탄) 및 부원료(코크스, 소결광, 철광석)등의 시료 채취, 파쇄작업 및 시료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업무를 수행하였고, 2010년 동 사업장 기술연구소에서 환경개선 업무, 철강 시편 연마 및 원소분석 작업을 4년 10개월간 수행하였다. 1996년 10월 레이노증후군 진단을 받았다. 이후 경화성 피부병변이 동반되어 대학병원에서 1997년 전신경화증을 진단받고 진료를 받던 중 2002년에.. 2020. 9. 4.
고철 계량 근로자 간질성폐질환 산재 인정사례 위 이미지 클릭시 바로 통화 연결됩니다. 고철 계량 근로자 간질성폐질환 산재 인정사례 출처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재해사례 성별 : 남성나이 : 51세직종 : 고철 계량 업무 관련성 : 인정 사건개요 이○○은 1984년 5월부터 철강 제조업체에 근무하던 중 2000년 5월 G대학교병원에서 간질성폐질환으로 진단받았다. 작업환경 작업내용 및 작업환경: 이○○은 1984년 5월 4일 철강 제조업체에 입사하여 외부에서 들어온 고철과 부원료를 필요에 따라 적절한 비율로 계량한 후 대차를 운전하여 다음 라인으로 이동시키는데, 이 작업은 독립된 작업실에서 모니터를 보며 컴퓨터 조작으로 수행한다. 그외 매일 30분 정도 대차와 대차 레일의 낙철과 잔류물(먼지 등)을 청소하였는데, 1994년 이 전에는 방진 마스크 대신.. 2020. 9. 3.